본문 바로가기
윰's 키친/오늘의 요리

김치전, 배추,호박 집에서 자주하는 전!

by 윰데이 2020. 7. 13.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은 하루 종일 비가 내리네요. 이런 날은 전이 생각나잖아요. 부쳐야죠!!

 

몇 년 전  지인 집에 놀러 갔는데 배추로 전을 부쳐서 제게 먹어보라 해서 깜짝 놀란 적이 있어요, 김치전은 많이 부쳐 먹어 좋아하지만 생 배추를 부쳐 주는데 맛보기 전에는 참 난감하더라고요. 배추전을 맛보고 한 번 더 놀랐어요. 아삭아삭 씹히는 식감이 참 맛있었어요. 그날 이후로는 제가 집에서 부쳐 먹어요. 날이 흐리고 비가 오면 튀김 음식이나 전이 생각나지요.

오늘은 집에서 자주 부쳐먹을 수 있는 전을 알려 드리려고요. 이웃님께서는 어떤 전을 좋아하시나요?

 

양념간장:  진간장 2수저, 식초 2 수저, 매실 2 수저, 물 1 수저, 굵은 고춧가루, 1/2큰술, 양파 1/4개  

 전을 부칠 때  소금, 후추, 밀가루, 달걀물, 식용유

 

 배추전 

알배기 배추 4장(150g)

1. 배추는 밑동을 자르고 한 장씩  맛있게 생긴 잎을 뜯어서 준비합니다.

2. 줄기 부분을 칼등으로  살살  두들겨 펴준 후 소금을 뿌려 준비합니다.

   김치담으려고  절인 배추로 물기 빼서 배추전 부쳐먹어도 식감도 좋고 간도 맞아서 맛있어요.

3. 배추에 밀가루를 묻힌 후 달걀물을 묻힌 뒤 프라이팬에  불을 켠 뒤 프라이팬 달궈주고 식용유를 두르고 배추를 넣고  센 불에서 노릇하게 앞뒤로 익혀냅니다. 센 불에서 부쳐야 기름을 덜 먹어 전이 고소한 맛을 냅니다.

 

 

 

애호박전 

 애호박전 - 애호박 1/2개

1. 애호박은 0.5cm 두께로 잘라 접시에 펼쳐 준비합니다. 

2. 애호박을 잘라서 접시에 펼쳐 준비한 후 소금을 살살 뿌려주면 간도 배이고 호박의 수분도 빼줍니다.

3. 애호박은 밀가루 뭍히고 달걀물 발라 주는 순서로 합니다.

4. 프라이팬에  불을 켠 뒤 프라이 팬 달구고 식용유를 두르고 센 불에서 노릇하게 익혀냅니다.

  만약 약불에 서서히 익히면 호박이 얇아지면서 힘이 없어져서 모양이 흐물거려집니다.

 (애호박과 배추전은  밀가루 달걀 안 하고 부침가루로 반죽해서 부쳐 먹어도 맛있답니다.)

 

 

김치전 

김치 1컵(170g), 밀가루 1컵 , 녹말 1 수저, 다시마 육수 (물) 1컵. 삼겹살 반줄 70g

1. 김치는 잘게 잘게 썰어서 준비합니다. 예전에는 김치도 크게 해서 찢어서 먹기도 했는데 요즘은 다들 잘게 다지듯이 한 것을 선호하는 것 같아요.

2. 돼지고기는 기름기 있는 부분이 전 부쳤을 때 고소합니다. 저는 삼겹살을 아주 얇게 썰었어요. 

3. 청양고추 2개 얇게 썰어서 준비합니다.

4. 밀가루와 녹말을 섞어서 물을 넣을 때 물 한 컵을 처음부터 다 넣지 말고 반죽의 농도를 보면서 물을 넣으세요. 김치에도 국물이 있어서 반죽이 질어질 수가 있어요. 반죽을 부침가루로 할 경우 녹말 안 써도 됩니다. 

 딱 두장 부쳐지는 양이예요.

 

 


 전을 부칠 때 너무 약불에서 부치면 기름이 많이 흡수되어 느끼 해질 수 있어요. 돼지고기를 넣어서 고기가 익어야 해서 중불로 했어요. 바닥이 익어가면 가장자리를 뒤집게로 살짝 들어주면 기름이 가운데로 들어가 바삭거려요. 그리고, 가운데 부분을 살짝 구멍을 내주고 기름을 살짝 넣어 주면  전의 가운데도 바삭거려요.가운데가 두꺼우면 눅눅할수도 있어요.

 

저는 오늘은 무쇠 프라이팬에 부쳤어요. 전은 무쇠에 하면 더 맛있는 것 같아요. 

무쇠가 좋아서  무쇠 사용하려고 전을 더 부치기도 하는 것 같아요.

 

양념장

1. 양파 큰 것 1/4개,  2. 진간장 2 수저, 매실 2 수저, 식초 2 수저, 물 1 수저 볼에 넣고 섞어 양념간장을 완성합니다.
양념장을 만들어 부쳐낸 전을 찍어서 드시면 됩니다~

비 오는 날 맛있게 부쳐서 드세요!

이웃님께서도 맛있는 식사 하시고 행복한 시간 되세요~

 

 

반응형

댓글